국내 첫 창고형 약국, 메가팩토리 성남에 문을 열다!
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슈등

국내 첫 창고형 약국, 메가팩토리 성남에 문을 열다!

by 케로빈대디 2025. 6. 19.

메가팩토리 출처: 메가팩토리 공식사진
메가팩토리 출처: 메가팩토리 공식사진
메가팩토리 출처: 메가팩토리 공식사진

 

‘약국계의 코스트코’, 메가팩토리약국 성남점의 모든 것


약국이 이젠 마트처럼 바뀌고 있다?

국내 최초의 창고형 약국인 ‘메가팩토리약국 성남점’이 성남 수정구 고등동에 문을 열었습니다.
일반 약부터 건강기능식품, 반려동물 제품까지 약 2,500여 종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약사 상담도 가능한 미래형 약국 모델을 소개합니다.


이름은 ‘메가팩토리약국 성남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형태로, 약국을 단순한 ‘조제 공간’이 아닌 대형 유통형 건강소비 공간으로 탈바꿈시킨 시도입니다.

 

이 약국은 ‘약국계의 코스트코’를 표방하며 기존의 약국과는 확연히 다른 구조와 운영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국내 첫 창고형 약국의 실체와 특징, 소비자 반응, 그리고 시사점까지 낱낱이 살펴보겠습니다.


 

📍 메가팩토리약국 위치정보

위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로5길 10
운영 시간: 매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전화번호: 031-757-7795
주차 가능 / 지역화폐 및 제로페이 결제 가능

‘메가팩토리약국 성남점’은 성남 고등지구 인근에 위치해 있어 성남, 분당, 위례권의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메가팩토리 약국 위치보기

 

네이버 지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로5길 10

map.naver.com

 


메가팩토리 출처: 메가팩토리 공식사진

🛒 창고형 약국? 도대체 뭐가 다를까?

‘창고형 약국’이란 기존의 카운터 중심, 약사 위주 구조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자유롭게 약을 고르고 쇼핑하듯 구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약국을 뜻합니다.

 

✔️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형 매장 & 선반식 진열 구조
    마치 대형마트처럼 넓은 실내 공간에 약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이 선반 형태로 진열되어 있습니다.
  2. 쇼핑카트 사용 가능
    손에 들고 고르는 게 아닌, 쇼핑카트를 끌고 다니며 약을 고르는 방식입니다. 이는 기존 약국에서는 보기 힘든 장면이죠.
  3. 약사와의 전문 상담 가능
    약사 없이 약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상주 약사가 고객을 상담하고 안내하는 시스템이 병행됩니다.
  4. 가격 투명화 & 정찰제 운영
    제품마다 가격이 투명하게 표기되어 있고, 마진을 줄인 정찰제 방식으로 운영되어 합리적 가격이 큰 장점입니다.

 

💊 메가팩토리에서는 어떤 제품을 팔고 있을까?

메가팩토리약국은 약 2,500여 종 이상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일반의약품 (OTC): 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해열제 등
  • 건강기능식품: 비타민C, 비타민D, 루테인, 오메가3, 밀크씨슬, 프로바이오틱스
  • 반려동물 의약품: 구충제, 비타민, 귀 청소제 등
  • 의약외품/생활건강용품: 마스크, 손소독제, 파스, 의약품 파우치 등

 

📌 특히 주목할 점은?

  • 3,000~5,000원대의 소포장 제품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어, 부담 없이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 기존에는 병원 처방 없이 구입하기 어려웠던 전문성 있는 건강기능식품도 다양한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어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 약사 상담 시스템도 강화

“카트만 끌고 약만 고르라고요? 아니에요!”

메가팩토리약국에는 약사가 상시 상주하여, 약물 간 상호작용 확인, 복약 지침 안내, 증상 기반 추천 상담까지 제공합니다.
약을 잘못 고르거나 과다 복용할 걱정을 덜 수 있도록, 전문성과 자율성을 동시에 갖춘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 창고형 약국의 등장 배경

  1. 소비자 니즈 변화
    • 약국을 단순한 ‘처방 조제 공간’이 아닌 건강 쇼핑 공간으로 인식
    • 셀프메디케이션 확산 → 스스로 약을 고르고 복용
  2.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 정기적인 약 구매가 일상화 → 넓고 다양한 약국이 유리
  3. 의약품·건기식 소비 증가
    •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약 5.5조 원 이상
    • 다이어트, 면역, 항산화 등 수요 증가
  4. 약국의 마트화·드럭스토어화 흐름
    • 약국의 경영 방식이 유통 중심으로 변화
    • 일본, 미국 등의 사례가 영향을 줌

 

🧳 미국과 일본의 창고형 약국 사례

🇺🇸 미국: 코스트코 약국 (Costco Pharmacy)

  • 회원제 기반 대형마트 내 약국 운영
  • 처방약부터 일반약, 비타민, 건강식품까지 저가 제공
  • 자동화된 리필 시스템 운영

🇯🇵 일본: 츠루하(Tsuruha), 마츠모토키요시 등

  • 드럭스토어가 창고형 구조를 취함
  • 고령자 중심, 자가진단 키트부터 영양식까지 다양

 

🛍️ 소비자 반응은?

오픈 첫 주부터 입소문을 타고 방문자가 급증했습니다.
주요 소비자 반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긍정 반응부정/보완 의견
넓고 쾌적한 공간 입구 구조가 다소 복잡함
다양한 제품을 한눈에 기존 약국보다 특별히 저렴하진 않음
반려동물 제품까지 있어 좋음 위치가 외진 편이라 접근성 아쉬움
약사 상담이 친절하고 전문적 정리되지 않은 진열대 일부 혼란
 

 

📈 국내 창고형 약국의 시사점

‘메가팩토리약국 성남점’의 등장은 단순한 상업적 시도가 아닙니다.
한국 약국의 구조적 전환, 셀프 헬스케어 시대의 서막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1. 셀프 메디케이션 확산
    소비자들이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책임지고 관리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2. 고령화와 건강 소비 증가
    중장년층, 고령층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창고형 약국의 고객층도 넓어질 전망입니다.
  3. 약국의 유통·디지털화 필요성 대두
    디지털 정보 제공, QR코드 복약정보 등과 연계된다면 더 큰 확장성이 기대됩니다.

 

✍️ 결론: 약국의 미래, 성남에서 시작되다

이제 약국은 단순한 조제소가 아닌, 소비자의 건강관리를 돕는 복합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메가팩토리약국 성남점’은 이러한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 편리함과 자율성,
  • 전문성과 합리적 소비,
  • 공간과 경험의 차별화를 모두 갖춘 새로운 모델입니다.

아직은 시작 단계지만, 앞으로 더 많은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이제 약국도 쇼핑하듯 편하게 방문하고, 스마트하게 건강을 챙기는 시대입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